최종 수정일 : 2022-04-14 10:03
IT미디어공학과 - IT Media Engineering

미디어의 융합 기술과 초고속 통신망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첨단 영상 제작 기술 및 예술 감성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콘텐츠 IT기술 개발에 필요한 전문 인력의 교육체제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본 대학원에서는 예술 및 공학 관련 전공들의 유기적 결합을 위해 IT기술(디지털마이징, CG/VR, IoT, 인공지능, 빅데이터)과 예술(영상학, 애니메이션, 디지털사이니즈)를 병행하여 교과운영을 하고 있다. 공학영역인 실감형 콘텐츠 기반의 스마트 TV, 터치기반의 스크린 TV, 디지털영상처리의 감시 카메라, 영상복원 등의 ICT 분야와 감성기반의 예술영역 산업 분야인 게임, 입체영화, 4D영화, 컴퓨터특수효과, 실감형 콘텐츠 기획 및 제작, UX/UI 디자인, 인터랙티브 영상, 미디어솔루션 등의 공학과 예술 분야가 융합한 창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며, 새로운 융합교육 활성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edia convergence technology and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 it is urgent to foster professional manpower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dvanced video production technology and digital content IT technology based on artistic sensibility. Accordingly, this graduate school operates the curriculum by convergence of IT technology (digital mining, CG/VR, IoT, AI, big data) and art (visual communication, animation, digital signage) to organically combine arts and engineering-related majors. It is to nurture creative talents that converge engineering such as immersive content-based smart TV, touch-based screen TV, digital image processing surveillance camera, image restoration, etc. and art fields such as effect CG, S3D, 4D movie, XR content production, UX/UI design, interactive video and media solution, and focuses on revitalizing new convergence education.


교육목표(The goal of education)

본 학과는 IT 기반 지식과 광범위한 미디어 콘텐츠기술이 접목된 학과로서 공학적 기반위에 풍부한 예술적 감수성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 교과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교육목표는 미래의 국부창출의 중요 분야인 콘텐츠 산업을 이끌어갈 창의적이고 고급 연구능력을 갖춘 공학인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This department is a department that combines IT-based knowledge with a wide range of media content technology. It has a convergence curriculum for nurturing talented people with rich artistic sensibility on an engineering basis. Therefore, the educational goal is to nurture engineers with creative and advanced research capabilities who will lead the content industry, which is an important field for creating national wealth in the future.

세부전공(Major)
  • IT융합전공(IT Convergence Media Engineering)
  • 영상미디어전공(Communication and Media)

교수진 소개(Introducing the Faculty)
프로필
사진
(Photo)
이름
(Name)
직위
(Position)
학위
(Degree)
전공/연구분야
(Major/
Research area)
구내전화
(Phone)
E-mail
임양미 교수 사진 임양미 교수 중앙대(박사)
일 큐슈예술공과대(석사)
Interactive Media Art Face Recognition 901-8350 vosimi@duksung.ac.kr
Yangmi
Yim
Professor Chung-Ang University Ph.D. content creation and computer graphics.
  • 연구분야 (Research Area)
    • Development of interactive video or media technology and computer graphics.
 
사진
(Photo)
이름
(Name)
직위
(Position)
학위
(Degree)
전공/연구분야
(Major/
Research area)
구내전화
(Phone)
E-mail
나정조 조교수 사진 나정조 조교수 숭실대(박사)
Pratt Institute (석사)
Media Art, UI/UX
Media Therapy
901-8716 jungjona@duksung.ac.kr
Jungjo
Na
Assistant Professor Soongsil University. Ph.D. Pratt Institute, M.F.A. Computer Graphics & Interactive Media / Media Therapy, UI/UX, Media Art
  • 연구분야 (Research Area)
    • Planning of UI/UX and producing digital contents using various media devices.
 
사진
(Photo)
이름
(Name)
직위
(Position)
학위
(Degree)
전공/연구분야
(Major/
Research area)
구내전화
(Phone)
E-mail
임양규 조교수 사진 임양규 조교수 중앙대(박사)
University of Music Franz Liszt Weimar (석사)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석사)
음악/공연 기술
동작인식
901-8717 trumpetyk09@duksung.ac.kr
Yang-kyu
Yim
Assistant Professor Chung-Ang University Ph.D, KAIST. M.S, HfM Weimar, M.M Sound Technology, Motion Tracking
  • 연구분야 (Research Area)
    • Development of motion recognition and performance technology using machine learning technology.
   
사진
(Photo)
이름
(Name)
직위
(Position)
학위
(Degree)
전공/연구분야
(Major/
Research area)
구내전화
(Phone)
E-mail
정원호 교수 사진 정원호 교수 과학기술원(석사, 박사) 컴퓨터공학
(분산 및 병렬시스템)
901-8343 whchung@duksung.ac.kr
음두헌 교수 사진 음두헌 교수 미 Oregon주립대(석사, 박사) 객체지향시스템 901-8345 dheum@duksung.ac.kr
강남희 부교수 사진 강남희 교수 Siegen University(박사)
숭실대(석사)
컴퓨터 네트워크 901-8349 kang@duksung.ac.kr
박태정 조교수 사진 박태정 부교수 서울대(박사)
서울대(석사)
컴퓨터 그래픽스
3D geometry processing
901-8339 tjpark@duksung.ac.kr

교과목해설(Curriculum)
  • 디지털영상편집(디지털영상제작워크플로우1)(Digital video editing)
    영상 콘텐츠 제작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해하며 디지털 시대의 콘텐츠 제작기술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연구를 통해서 콘텐츠 공학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의 구성요소를 분해하고 공통요소를 찾아 규칙화하여 새로운 콘텐츠 제작 방식의 모델을 배운다.
  • 영상예술과 미디어(기술)(Visual arts and media)
    현대 사회는 이미 충분한 양의 영상이미지를 산출해내고 있으며, 과거와 현재에 대한 영상에 대해 학문적, 미학적 분석을 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또한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로 영상이 진화하고 있어,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연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수업이다.
  • 3D 그래픽스특론(Selected Topics in 3D graphics)
    최신 논문을 통해 영화 특수 효과, 게임, 미디어에 바로 적용 가능한 고급 그래픽스 이론 및 기법을 연구, 학습하고 OpenGL 등의 그래픽스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구현을 목표로 한다. 세부적으로 모델링, 애니메이션, 렌더링 각 분야에 대해 인공물 및 복잡한 형상의 모델링 기법, 눈/물/불 등 자연 현상의 애니메이션 방법, 사실적인 영상 제작을 위한 최종 렌더링 기법 등의 이론과 최신 결과물을 연구한다.
  •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작(Interactive content production)
    모바일 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한 층 더 그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는 인터랙티브 기술의 이론과 기술적 실제를 연구, 학습한다.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사용자 경험(UX)의 융합 학문 분야인 HCI(Human-Computer Interaction)의 기본 이론과 최신 연구 사례를 학습하며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다양한 센서 및 액추에이터 기술과 실시간 콘텐츠 제작 기법을 소개, 구현한다.
  • 입체영상개론(Stereoscopic Introduction)
    최신 방송기술인 3D 입체영상 제작을 위한 일련의 과정에 대해 이론과 실습을 통해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3D 입체영상은 시작 단계에 있지만 각각의 업체와 국가에서 강화하는 사업이고 입체영상 제작 가이드라인이 아직 발표되지 않은 시점이기 때문에 본 수업을 통해 입체영상 기술분석과 영상제작 방법안을 모색해 본다.
  • 인터랙티브아트 프로젝트(Interactive art project)
    기업과 연계해서 옥외 인터랙티브 광고 또는 실내 인터랙티브 광고를 제작하는 수업이다. 산학연계 수업으로 진행되는 관계로 3개월 프로젝트 수업 방식으로 진행되며 최종 결과물에 대해 기업 평가가 이루어지게 된다.
  • 미래컨셉스튜디오(Future concept studio)
    공학 교과과정과 콘텐츠 제작 교과과정을 모두 이수한 학생이 사회에 진출하기 이전에 창업 및 취업을 준비하기 위한 실용 전공과목이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수업으로 실제 창업 과정과 기술경영 방식을 이해하고, 디지털 미디어 콘텐트 산업의 향방 모색과 모바일 기술, 입체콘텐츠 기술, 감성형 처리기술, 융합형 콘텐츠 기술의 산업 분야 등의 내용을 다룬다.
  • 모바일 융합 콘텐츠(Mobile Fusion Contents)
    모바일로 그려보고, 흔들고, 만져볼 수 있는 재치 있는 아이디어 위주의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방법을 다룬다. 이를 위해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먼저 이해하고 그 특성에 맞는 비교적 작고 간단한 구조의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 작성법을 습득한다. 모바일 응용은 참신한 아이디어가 중요한 경우가 많으므로 아이디어 도출을 중요하게 다룬다. 다양한 모바일 실무개발에 기본이 되는 수업이고 실전형 심화학습과 병행이 되는 수업이다.
  • 고급 컴퓨터시스템(Advanced Computer System)
    컴퓨터시스템 구조 및 개념을 소프트웨어 설계,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에 적용한다. PC 환경에서 객체지향 윈도우즈 프로그래밍과 UNIX 환경에서 Motif 프로그래밍을 실습과 함께 다룬다. 기존에 적용된 사례를 연구하고 결함포용 방법에 관하여 최근의 연구 동향에 대하여 배운다. 이를 기반으로 컴퓨터시스템의 설계 기법과 여러 가지 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기법을 배운다.
  • 소프트웨어공학특론(Selected Topics in Software Engineering)
    소프트웨어 공학 원리, 개발 방법론 및 모델을 습득하여 대규모 소프트웨어 기획 및 제작에 필요한 개념 및 이론을 다룬다. 소프트웨어 Specification기술, 요구 분석 기술, 소프트웨어 설계 기법, Document 기법, 프로젝트 관리 기법, 소프트웨어 생산성 및 재활용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유지 보수 및 최근의 동향인 객체지향에 기반을 둔 소프트웨어 설계 기법 등과 이들에 대한 세계적인 추세 등을 다룬다.
  • 객체지향 분석 및 설계(Object-oriented Analysis and Design)
    객체에 기반을 둔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조, 표기 방법 및 의미가 다루어지고 사용자 중심의 응용언어의 분석 및 설계 방법을 소개한다.
  • 서버 관리 및 프로그래밍 특론(Advanced Server Management and Programming)
    스마트폰 및 스마트 기기 중심의 모바일 ICT 환경을 위한 소프트웨어 작성을 목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산성 및 재활용성, 프로젝트 기획 및 관리 기술 방법을 소개한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서버와 연계된 이론적 개념을 적용하고 분석하는 기술도 다룬다.
  • 고급운영체제(Advanced Operating System)
    실시간 시스템의 전반적인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개념정의, 시스템 설계, 스케쥴링 및 자원할당, 그리고 통신 측면에서의 기초이론을 습득한다.기능상으로 완전한 microkernel 운영체제의 자세한 구조 및 실현 방법에 대해 배운다. 이를 위해 동시성 관리기법, 메모리 관리기법, 파일시스템, 네트워킹 등의 기초이론을 습득한다.
  • 컴퓨터네트워크특론(Selected Topics in Computer Networks)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컴퓨터 통신 분야에 있어서 정보통신에 관한 고급 이론 및 최신 동향 등을 Osi 7-Layer Network Architecture에 입각하여 상위 레벨에서 심도 있게 다룬다. 고급의 고성능 초고속 정보 통신망 service를 위한 BISDN망과 ATM 교환망, 멀티미디어 Networking 그리고 망 관리 및 앞으로의 동향 등에 관한 지식을 폭 넓게 다룬다.
  • 정보보안특론(Selected Topics in Information Security)
    정보 보호와 시스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과 프로토콜을 습득한다. 기본 개념을 기반으로 최근 산학 동향 및 ICT 환경에 적용할 경우 유발되는 이슈도 심도 있게 다룬다.
  • 알고리즘특론(Selected Topics in Algorithms)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구성하고 처리하는 방법론을 다룬다. Computational Complexity를 분석하고 NP-completeness이론과 NP-complete문제에 대한 정확한 해와 근사해를 위한 방법을 공부한다. Linear 프로그래밍 기술과 Dynamic 프로그래밍 기술들에 대한 소개도 실습과 함께 다룬다.
  • 데이터베이스 응용 특론(Advanced Database Applications)
    현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새로운 흐름에 대하여 학습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학습의 주 내용은 관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연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등이다. 각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과 그 해결방안들에 대하여 학습한다.
  • 고급네트워크보안(Advanced Network Security)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본 이론과 위협 및 취약점을 분석한다. OSI 7계층의 각 계층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제안된 시스템 및 프로토콜을 학습하고 최근 동향을 기반으로 신규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는 기본 개념을 학습한다.
  • Writing Lab A·B(Writing Lab A·B)
    대학원 학생들이 자신의 연구분야와 관련된 영문초록 및 proceeding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멀티미디어프로젝트(Multimedia projects)
    멀티미디어 제작에 필요한 기술적인 요소들의 이론적인 학습을 수행하고 실제 산업 현장에서 프로젝트 수행 능력 확보를 위해 목표 설정, 계획 수립, 구현, 디버깅 등의 단계를 실제로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기술 이론은 그래픽스, 신호 처리, 네트워크 등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전반을 다루며 연구 분야에 따른 구현 주제를 선정해서 실제 프로젝트 수행 단계를 실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