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세미나(Master Project & Internship)
텍스타일과 관련된 상품의 개발 및 제작을 위한 상품기획, 디자인 개발, 상품제작, 마케팅에 이르는 과정을 총체적으로 연구한다.패션과 관련하여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의복구성, 마케팅 등의 주제에 따라 연구방법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이론적 고찰 및 실증적 자료 수집, 분석 등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을 총체적으로 심도있게 연구하는 논문지도 과목이다.
-
패션디자인스튜디오(Fashion Design Studio)
패션과 예술의 상호 관련성과 조형성을 시대적 배경과 함께 분석한다. 또한 다양한 방법의 디자인 발상과 조형적 표현에 대한 연구 및 학습을 통해 상업적·예술적 측면에서 고부가가치 패션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적 디자인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패션디자인컬렉션연구(Fashion Design Collection)
국내·외 패션 경향을 파악하고 컬렉션에 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연구함으로써 미래 패션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즌별 컨셉을 설정하고 디자인 발상에서부터 소재 및 컬러기획, 디자인 기획, 스타일 기획 등 패션디자인 컬렉션의 전 과정을 학습한다.
-
패션일러스트레이션스튜디오(Fashion Illustration Studio)
컴퓨터그래픽을 통하여 예술적·기술적 조화를 이루는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제작하고 패션산업에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패션일러스트레이션표현기법(Fashion Illustration Techniques)
다양한 스타일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작품사례를 수집, 분석함으로써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시대적 흐름과 기법을 파악하고 예술적 감각과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독창적 표현기법을 개발한다.
-
패션디자인과 이미지연구(Fashion Design & Image)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여러 가지 재료와 도구를 사용하여 평면과 입체로 시각화하여 패션의 창조성과 조형성을 연구한다.
-
패션소재와색채연구(Fashion Fabric and Color)
패션소재 트랜드를 파악하고 색채와 조직, 패턴 등을 연구하여 패션 산업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의상디자인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 in Fashion Design)
주제 선정, 이론적 틀의 사례와 연구문제 제기, 자료수집 방법, 자료분석 및 해석, 결과 제시와 결론 도출 등 연구보고서 작성 과정에 대한 실제 훈련과 질적연구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 이해 및 실습을 통하여 의상디자인 분야의 연구에 독창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양성한다.
-
패션조형론(Theory of Fashion & Art)
사회 문화적 배경에 따라 형성되는 예술적 패러다임에 대한 강의를 통해 패션의 변화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방법론을 연구한다.
-
패션디자인 리서치 앤 세미나(Fashion Design Research & Seminar)
사회 문화산업의 전반적 현상과 맞물려 발생하는 패션디자인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리서치와 세미나를 통해 패션디자인에 대한 접근 및 이와 관련한 연구주제, 방법 등을 구체화하여 총체적인 연구 분석능력을 키운다.
-
패션디자인특론(Advanced Fashion Design)
현대패션과 디자인의 특성을 파악하고 미적·논리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다양한 트렌드와 스타일링에 대한 학습을 통해 창의적 패션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한다.
-
패션산학프로젝트(Fashion-Industry Project)
패션과 패션기업과의 산학 연계·협력 작업을 통한 패션상품디자인 및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에서 이루어지는 실제 작업을 협력하여 진행하며 기업의 시제품 개발을 통해 혁신적인 패션디자인 개발과 기업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
3D가상착의와 Fit분석(Fit Analysis with 3D Virtual Fitting System)
패션산업에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가상착의(Virtual fitting) 프로그램을 학습하여 3D 데이터로서의 패턴을 이해한다. 또한 가상착의 실습을 통해 Fit을 분석 및 수정과정을 학습함으로써 제품의 기획, 생산시간의 효율성 향상을 경험한다. 더불어 패션산업과 제품판매과정에서 가상착의 현황을 조사하여 현 가상착의 프로그램의 제한점과 개선점을 연구한다.
-
기성복치수와 생산관리(Apparel Production Management)
의류 산업체의 전반적인 생산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샘플생산과 메인생산의 관계와 과정을 학습하고 업체 타겟에 따른 샘플 및 생산 치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치수체계를 이해한다. 특히, 기성복 생산에서의 패턴과 봉제 및 생산라인설계 등 메인생산과정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한다.
-
기성복패턴분석(Apparel Pattern Analysis)
기성복 디자인의 구성적 요소를 분석하고 신체치수와 패턴 및 의복구성에 대한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기성복 디자인과 구성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다. 특히 의복 아이템별, 실루엣별, 구성방법별 디자인 표현방법을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실물 표현능력을 높인다.
-
크리에이티브패턴디자인(Creative Pattern Design)
패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패턴 구성 요소가 강조된 크리에이티브한 디자인을 개발하고 각 디자인에 적합한 패턴제도, 샘플제작 및 Fit 평가 및 수정단계로 진행한다. 개인별 디자인에 따라 이를 표현하는 패턴기법과 제작테크닉을 연구한다.
-
패션마케팅특론(Advanced Fashion Marketing)
패션현상에 대한 이해와 과학적 해석을 통하여 패션산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의 개선방안과 발전전망을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또한, 리서치에 기반을 둔 연구방법을 통해 패션마케팅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상품, 상표, 시장세분화, 유통 등의 측면에서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
패션소비자행동론(Fashion Consumer Behavior)
다변화되는 패션현상과 사회문화적 환경 및 개인과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패션 전파 과정을 이해하고 패션상품의 선택과 관련된 소비자 구매의사 결정과정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학습함으로써 소비자 행동 및 소비 트렌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
트랜드정보분석및기획(Analysis on Trend & Planning)
트랜드 형성과정과 분석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해 패션상품의 기획 및 적용방법을 이해한다.
-
텍스타일디자인특론(Special Study in Textile Design)
텍스타일디자인의 본질 및 다양성을 이해하고 적용분야에 대한 동향 및 시장분석 등을 실시하여 전반적인 텍스타일디자인 산업을 이해한다.
-
Advanced Computer Weaving(Advanced Computer Weaving)
컴퓨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직물 및 신소재를 개발하고 산학협력을 통하여 적용범위를 연구한다.
-
인테리어용직물제품디자인연구(Interior Textile Design)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인테리어 직물 제품에서 요구되는 차별화된 기능성, 기술성 그리고 심미성에 관한 통합적인 연구와 실험을 통하여 인간과 공간을 위한 창의적인 직물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한다.
-
상품기획세미나(Seminar for Product Design)
텍스타일을 이용한 상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획과정 및 방법을 연구한다.
-
Advanced Digital Textile(Advanced Digital Textile)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에 의한 디자인 개발과정을 다루며 DTP System의 실습을 병행한다.
-
의류용직물제품디자인연구(Apparel Fabric Products Design)
다양한 섬유 소재에 관한 과학적 연구와 여러 유형의 직물 제품들에 관한 다각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특수용 직물제품을 위한 새로운 적용범위와 혁신적인 신소재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
Presentation Study(Presentation Study)
상품기획 및 제품에 관한 정보의 전달을 위하여 효과적인 전달방법 및 프리젠테이션 테크닉을 이해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
특수용직물제품디자인연구(Special Fabric Products Design)
다양한 섬유 소재에 관한 과학적 연구와 여러 유형의 직물 제품들에 관한 다각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특수용 직물제품을 위한 새로운 적용범위와 혁신적인 신소재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
섬유재료연구(Research in Textile Materials)
섬유재료에 대한 물리적·상품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론적 연구와 실제 소재분석을 통해 섬유 소재의 기능을 분석해봄으로써 상품기획을 위한 소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마켓리서치(Market Research)
상품기획 및 상품개발에 필수적인 시장조사를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조사계획 수립, 실행방안, 전략수립에 이르는 과정을 이론적 연구 및 사례조사를 실시하여 연구한다.
-
텍스타일주제연구(Research Topics in Textile)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등 섬유와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여 주제의 이해, 주제 분석, 기술 및 평가 과정을 통해 연구능력을 배양한다.
-
Writing Lab A, B(Writing Lab A, B)
대학원 학생들이 자신의 연구분야와 관련된 영문초록 및 proceeding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