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술사론 (Seminar in Korean Art History)(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한국미술의 역사적, 문화적, 사상적 배경, 구체적인 양상과 특징, 양식 등을 고찰하면서 전공분야의 지식과 방법론을 습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학기별로 주요 주제를 선정하여 분야별 연구의 기초를 형성한다.
-
박물관학 (Museology)(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박물관의 의미, 역할, 기능에 대해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박물관 자료의 수집 및 해석, 박물관 정보관리, 박물관 건축과 시설, 박물관 섭외와 교류 등에 관해 살펴본다.
-
예술철학 (Philosophy of Arts)(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문화산업론 및 대중문화론이나, 문화이론, 문화예술과 소비자 행동론 등은 현대사회에서의 예술의 문제를 주로 사회, 경제, 문화의 관점으로부터 예술의 존재 방식을 고찰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외적 조건의 변화가 예술 자체의 내적 변화를 이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예술철학>은 이러한 사실을 전제로 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현대예술의 문제를 예술의 안쪽으로부터 묻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장 생산적인 지평을 열어 줄 수 있는 것은 아도르노, 벤야민 등의 이론이다.
-
서양미술사론 (History of Western Art)(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고대부터 현대까지 서양미술사의 흐름을 개관하고, 각 시대양식의 정치적, 경제적, 이념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동양회화사특론 (Seminar on East Asian Paintings)(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이 과정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회화를 중심으로 각국의 문화적, 사상적, 예술적 경향에 따른 회화적인 특징과 변천과정, 화론 등을 연구하려고 한다. 회화 생산과 공급, 유통의 계층적, 사회적, 정치적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감안하면서 동아시아 회화 고유의 성격과 화풍을 구명하게 될 것이다.
-
한국회화사특론 (Seminar in Korean Painting)(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한국 전통회화의 양상과 성격, 양식, 작가와 기법 등의 문제를 정리하고, 회화사의 역사와 방법론은 탐구한다. 학기별로 한국회화의 쟁점이 되고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최근의 연구동향을 접하고, 회화사 연구의 기초능력을 배양한다.
-
동양조각사특론 (Seminar in East Asian Sculpture)(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인도에서 시작하여 중앙아시아와 중국, 일본의 불교조각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고 각자 선택한 주제에 대해서 발표하고 토론한다.
-
한국조각사특론 (Seminar in Korean Sculpture)(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우리나라의 삼국, 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의 조각을 살펴보면서 각자 흥미 있는 주제에 대해 조사연구하고 발표하며 토론한다.
-
서양근대미술사특론 (Topics in Modern Western Art)(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서양근대미술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최근의 연구동향을 파악한다. 또한 쟁점이 되는 문제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와 논의를 통해 독자적인 연구능력을 배양한다.
-
서양현대미술사특론 (Topics in Contemporary Western Art)(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서양현대미술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최근의 연구동향을 파악한다. 또한 현대 미술 연구에 동원되는 다양한 이론에 대한 이해와 적용능력을 배양한다.
-
동양공예사특론 (Seminar in East Asian Crafts)(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서아시아와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에 이르기 까지 동양에서 제작되었던 공예품의 재료와 양식, 문양 등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조사, 연구를 중심으로 동양공예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
한국공예사특론 (Seminar in Korean Crafts)(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선사시대부터 삼국, 고려,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발전했던 우리나라의 금속공예 미술에 대해 살펴본다.
-
동양도자사특론 (Seminar in East Asian Ceramics)(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중국 신석기시대 토기의 발생에서부터 청대의 도자에 이르기까지 각 시기 도자기의 재료와 종류, 기형과 문양, 변천과정 등을 미술사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주변 국가의 도자기 발달에 끼친 영향관계를 폭넓게 공부한다.
-
한국도자사특론 (Seminar in Korean Ceramics)(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선사시대부터 삼국, 고려,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발전했던 우리나라의 도자공예 미술에 대해 살펴본다.
-
한국근·현대미술사 (History of Modern Korean Art)(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한국 근·현대미술의 흐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쟁점이 되는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 서술, 방법론 등을 연구한다.
-
동서미술교섭사특론 (Artistic Relations between East and West)(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인도서북부와 중앙아시아 지역미술을 중심으로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교류를 살펴본다. 또한 이러한 동서미술의 교류를 통해서 중국과 한반도의 미술이 어떻게 발전하게 되었는가를 이해한다.
-
미술사세미나 1, 2 (Seminar in Art History 1, 2)(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동·서양 미술사에서 쟁점이 되는 주제를 선정하여 연구한다.
-
미술사특강 1, 2 (Topics in Art History 1, 2)(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개설되는 시점에서 학생들의 요구에 필요한 분야나 주제를 중심으로 해당 연구성과 및 방법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미술사 연구를 심화하는 과정이 될 것이다.
-
미술사연구 1, 2 (Research Method & Theory of Art History 1, 2)(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최근의 미술사분야에서 제기된 새로운 연구경향과 성과, 방법론을 전반적으로 검토하면서 주요 논점을 정리하고 비판하여 미술사 연구의 기초를 다진다.
-
미술사쟁점연구 1, 2 (Special Issue in Art History 1, 2)(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토론과 발표를 통해 미술사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심화한다.
-
유적조사실습 (Exploration of Cultural Relics)(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현장답사를 통해 문화재를 보는 안목을 기르고 이론적인 학습을 보완한다.
-
문화이론 (Theories of Culture)(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본 강좌는 현대문화의 특징인 영화나 TV, 라디오 등의 매체에 의한 대중적이며 소비주의적인 상품문화의 대규모적인 생산, 유통, 소비의 문제를 마크로한 사회이론의 차원에서 분석·고찰하는 한편,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일상 속에서의 대중에 의한 상업적 소비문화 경험에 대한 미크로한 분석을 통해, 소비주의적 상품문화가 갖는 긍정적 가능성뿐 아니라, 이것이 초래한 문화의 위기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대항적인 문화의 가능성을 모색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문화산업론 (Culture Industry)(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문화산업의 역사와 현재적 의미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높이고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문화산업의 다양한 유형과 가치를 연구한다.
-
문화콘텐츠론 (Cultural Contents)(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문화예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기획 및 제작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문화예술과 결합된 콘텐츠 개발 가능성을 모색한다.
-
Writing Lab A·B (Writing Lab A·B)(Seminar in Korean Art History)
대학원 학생들이 자신의 연구분야와 관련된 영문초록 및 proceeding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