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수정일 : 2021-12-30 10:30
국어국문학과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우리 학과는 국어학·국문학(고전문학·현대문학) 및 관련 분야의 학문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전공분야는 국어학·국문학·한국어교육학으로 나뉜다. 따라서 우리 학과에 입학한 학생은 자신의 적성에 따라 전공 분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문 연구자로서의 기초를 다지게 된다. 국어국문학과는 국어국문학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꾀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대학원 졸업 이후에도 연구 활동을 계속 이어가기를 권하고 있다. 우리 학과는 학문적 열정과 창의성을 가지고 전공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에 매진하고자 하는 사람을 필요로 한다.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as established on May 17, 1950 as the Department of Korean Literature, one of the first three departments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also comprised of the Department of English Literature and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Over the past 70 years, the department has retained the academic tradition and the true value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tudies. The department boasts five professors teaching the courses of Korean Linguistics,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on Korean Linguistics, including History of Korean Language, Korean Grammar, Korean Phonology and Korean Phonetics, are taught by professors Jeong-ho Yang and Ji-eun Kim. Within Korean Literature, professors Eun-ae Lee and Myeong-chan Lee are responsible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including novels, poems, and criticism. Professor Yu-jin Kim teaches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cluding literature history, oral literature, classical poems, and classical novels. Cours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taught by all five professors and invited lecturers for the balanced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well as broad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교육목표(The goal of education)

모국어와 모국어 문학은 언어와 문학 일반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기본 바탕이자 그 성과를 확인하는 귀착점이 된다. 따라서 대학원에서는 학부의 교육 과정을 심화시켜 국어국문학 연구의 성과를 점검하고, 정리하고, 비평하는 힘을 길러, 각자가 주체적으로 연구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탐구하여 민족문화 창달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ims for in-depth understanding and innovative research of Korean Linguistics,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students are expected to enhance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in general by finding connections in various issues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세부전공(Major)
  • 국어학(Korean Linguistics)
  • 국문학(Korean Literature)
  • 한국어교육(Korean Education)

교수진 소개(Introducing the Faculty)
프로필
사진
(Photo)
이름
(Name)
직위
(Position)
학위
(Degree)
전공/연구분야
(Major/
Research area)
구내전화
(Phone)
E-mail
이명찬 교수 사진 이명찬 교수 서울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
국문학(한국현대시론) 901-8183 uzuluzul@duksung.ac.kr
Lee Myeong-chan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Modern Korean Literature
  • 대표논문/연구실적 (Representative publication)
  • 연구분야 (Research Area)
    • Modern Korean Literature
 
사진
(Photo)
이름
(Name)
직위
(Position)
학위
(Degree)
전공/연구분야
(Major/
Research area)
구내전화
(Phone)
E-mail
이은애 교수 사진 이은애 교수 덕성여자대학교(학사)
서울대학교(석사, 박사)
현대문학 비평 901-8592 sojin-58@hanmail.net
Lee Eun-ae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Modern Korean Literature
  • 대표논문/연구실적 (Representative publication)
    • 문학 속에 나타난 ‘죄의식’ 연구- 「병신과 머저리」에 대한 정신분석적 독해:트라우마 치료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uilt' Shown in the Literature-Psychoanalytic Perspectives on A Fool and an Idiot : Focusing on Potential Therapeutic Approaches in Trauma
      -URL: http://www.riss.kr/link?id=A107227661
    • 윤동주 시에 나타난 '영성 세계'의 순례 - '어머니'에서 '그리스도'에로 혹은 '그리움'에서 '사랑'에로 이르는 길 = A Pilgrimage of 'Spritual World' in Yun Dong-ju's Poetry-A Road from 'Mother' to 'Christ' or from ' to 'Implied Endurance' 
      -URL: http://www.riss.kr/link?id=A106489407
    • 대도시 ‘서울’의 체험과 알레고리적 이미지 - 「염소는 힘이 세다」를 중심으로 = The Experiences of ‘Seoul’ in Metrocity and Allegorical Images - Focusing on 「The Goat is Strong」
      -URL: http://www.riss.kr/link?id=A105965621
  • 연구분야 (Research Area)
    • Modern Korean Literature
 
사진
(Photo)
이름
(Name)
직위
(Position)
학위
(Degree)
전공/연구분야
(Major/
Research area)
구내전화
(Phone)
E-mail
양정호 교수 사진 양정호 교수 서울대학교(학사, 석사, 박사) 국어학(국어사) 901-8158 yjhkorean@duksung.ac.kr
Yang Jeong-ho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Korean Linguistics
  • 연구분야 (Research Area)
    • Korean Linguistics
 
사진
(Photo)
이름
(Name)
직위
(Position)
학위
(Degree)
전공/연구분야
(Major/
Research area)
구내전화
(Phone)
E-mail
김유진 조교수 사진 김유진 조교수 서울대학교(학사, 석사, 박사) 국문학(한국고전소설, 한국고전산문) 901-8184 kimyujin@duksung.ac.kr
Kim Yu-jin Assistant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Classical Korean Literature
  • 연구분야 (Research Area)
    • Classical Korean Literature
 
사진
(Photo)
이름
(Name)
직위
(Position)
학위
(Degree)
전공/연구분야
(Major/
Research area)
구내전화
(Phone)
E-mail
김지은 조교수 사진 김지은 조교수 서울대학교(학사, 석사, 박사) 국어학(음운론, 음성학) 901-8182 smart173@duksung.ac.kr
Kim Ji-eun Assistant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Korean Linguistics
  • 연구분야 (Research Area)
    • Korean Linguistics
 
사진
(Photo)
이름
(Name)
직위
(Position)
학위
(Degree)
전공/연구분야
(Major/
Research area)
구내전화
(Phone)
E-mail
김은희 교수 사진 김은희 교수 덕성여자대학교(학사)
성균관대학교(박사)
國文學(古典文學-古典詩歌) 901-8499 ehkim@duksung.ac.kr


교과목해설(Curriculum)
  • 국어의미론연구(Study on Korean Semantics)
    ‘의미’의 의미에 관한 검토로부터 출발하여 일반의미론에서의 제반 이론을 검토한 후, 국어의 통상 어휘구조와 관련된 의미구조의 연구에 적용하고, 어휘의미와 문장의미의 검토를 통해 의미론과 활용론, text언어학의 관계 파악 등을 시도한다.
  • 국어방언론연구(Study on Korean Dialectology)
    국어의 여러 하위방언의 음운, 통사, 어휘 의미적 특징을 이해하고 그 하위방언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공통성과 상위성을 비교·고찰함으로써 공통어로서의 국어가 가지는 일반성과 그 하위 방언이 가지는 특수성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해 본다.
  • 국어학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s of Korean Linguistics)
    국어의 언어현상들을 설명해 주는 여러 언어이론들의 방법론적 기초를 습득하고 이들 언어 이론들의 문제점들을 살펴봄으로써 국어의 언어현상에 대한 올바른 연구방법론의 창출을 모색한다.
  • 국어학연습(Seminar in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논문을 쓰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하는 언어이론들을 두루 섭렵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 국어자료에 접근해 보는 연습을 함으로써 국어에 대한 언어학적 안목을 배양한다.
  • 국어음운론연구(Study on Korean Phonology)
    국어의 여러 음운현상에 대한 전반적이고도 체계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그 음운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일반적 원리를 밝혀줌으로써 국어 음운현상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한다.
  • 국어형태론연구(Study on Korean Morphology)
    국어의 형태적 특성을 전반적으로 조망하고, 나아가 품사분류, 활용론, 조어법 등의 사항을 구체적으로 연구 검토함으로써 국어형태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 국어통사론연구(Study on Korean Syntax)
    문장의 성분이나 문법요소들의 통사적 기능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들의 통사상의 특성을 연구함을 목표로 하며 개별적인 문법 범주뿐만 아니라 문장구성과 담화의 층위까지 그 연구범위를 확대한다.
  • 국어사연구(Study on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국어의 통시적 언어현상을 일관된 흐름 하에서 분석, 해석함으로써 언어의 체계성을 확인하고 실증적인 학문태도를 익힌다.
  • 국어정보학(Korean Information Science)
    자연언어처리(NLP)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여 자연언어의 한 개별언어인 ‘국어’를 이해하고, 국어를 ‘정보화’할 수 있는 전문적인 인력으로 양성하는 것이 본 수업의 목표이다. 뿐만 아니라 언어처리 관련 사이트를 방문하여 최근 국내외의 대학, 연구기관, 산업체 등에서 이루어진 각종 연구성과, 기술 등을 이해하도록 하며, 여기서 얻은 소스나 자료로 실제 언어처리 프로그램을 구동시켜보도록 한다.
  • 현대소설연구(Study on Korean Contemporary Novels)
    현대문학의 대표적 장르인 소설의 사회적 역할과 그 특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공부하며, 주요 작가의 대표적 작품을 분석한다.
  • 고전소설연구(Study on Korean Classical Novels)
    고전소설의 대표적 작품을 선정하여 주제, 작품, 갈등 및 유형을 사회적, 문학사적 관련 아래서 연구한다.
  • 현대시연구(Study on Korean Contemporary Poetry)
    한국현대시의 구조, 표현기법 및 특질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문학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여 시문학의 영역을 확장한다.
  • 고시가연구(Study on Korean Classical Poetry)
    고대 시가에 대해서 그 형태적 특징, 시가로서의 미학적 가치 등을 연구 토의한다.
  • 현대작가연구(Study on Korean Contemporary Writers)
    시, 소설 분야의 한국 현대작가의 작품, 생애와 작가에 영향을 끼친 시대적 배경을 조사하고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 고전작가연구(Study on Korean Classical Writers)
    고전문학의 대표적 작가들을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생애와 그 사상을 연구한다.
  • 개화기문학연구(Study on Literature of Korean Enlightment Periods)
    19세기 말을 전후한 문학작품들의 형성과정과 변천과정을 고찰하여 한국 현대문학의 속성을 밝힌다.
  • 한국한문학연구(Study on Sino-Korean Literature)
    한문학이 국문학과 더불어 한국문학이라는 범주 속에서 동질적으로 파악되어야 함을 밝히고, 또한 한문학의 시대적 특성과 형태를 규명하여, 이를 역사적으로 고찰한다.
  • 희곡연구(Study on Korean Drama)
    시와 소설의 중간적 성격을 지닌 현대희곡의 본질과 위상, 그리고 문학작품으로서의 역사적 가치를 밝힌다.
  • 판소리연구(Study on Pan-Sori)
    판소리와 고대소설과 관련성을 연구하여 판소리의 성립과 변천과정을 문학적 이론으로 정립한다.
  • 문학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s of Literary Study)
    문학연구의 학술적 근거를 토대로 동·서 기존의 문학연구 방법론의 여러 유형을 이해하고 적절한 한국문학 연구방법을 탐구한다.
  • 현대문학연습(Seminar in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작품성이 우수하고 확고한 현대의 작품을 골라 그 작품이 지닌 문학적 구조와 가치를 검증한다.
  • 고전문학연습(Seminar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고전문학의 대표적 작품을 선정하여, 그 형성 전개를 유형별로 분석 연구한다.
  • 국문학사연구(Study o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문학사 기술방법을 공부하고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국문학사상 대표적 작품과 작가를 통하여 문학사의 흐름을 정립한다.
  • 현대비평연구(Study on Korean Contemporary Literary Criticism)
    개화기 이후 문예비평의 전개과정과 비평이 우리 문학에 끼친 영향을 연구한다.
  • 고전비평연구(Study on Korean Classical Literary Criticism)
    고전비평 자료강독을 통해서 고전문학에 나타난 비평방법과 문학이론을 체계화한다.
  • 현대문학사연구(Study on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개화기 이후 현대문학의 발전과정을 토의형식으로 연구 발표한다.
  • 한국어이해교육법(Teach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Understanding)
    올바른 한국어 이해를 유도할 수 있는 교육법을 연구한다.
  • 한국문학의이해(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고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학의 전반적 흐름을 이해하고 연구한다.
  • 한국현대문학특강(Topics in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현대문학의 작품과 작가별로 중요한 논제를 택하여 그것을 다각적 시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현대문학사의 역사적 전개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 한국고전문학특강(Topic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고전문학을 총괄하고 그 문제점을 찾아 연구의 방향과 근본 원리를 발견하여 각 분야별 연구의 지침이 되고, 현대문학으로의 계승을 연구한다.
  • 한국의현대문화(Korean Modern Culture)
    한국의 현대문화가 어떻게 표상되는지 구체적으로 연구하고 발표한다.
  • 한국어표현교육법(Teach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Expression)
    올바른 한국어 표현을 유도하고 교수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발표 토론한다.
  • 한국의전통문화(Korean Traditional Culture)
    한국의 전통문화의 개념과 흐름, 구체적 실상에 대해 연구한다.
  • 한국어어문규범(Korean Language Standards)
    어문규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규범이 어떻게 구체화되는지 연구한다.
  • 한국어교육과정론(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어 교육을 위한 체계적 교육과정에 대해 심도있게 연구하고, 바람직한 교육과정을 설계한다.
  • 한국어문법교육론(Studies on Theories of Korean Grammar Teaching)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법 교육의 가치와 목표를 이해하고 전반적인 문법 지식을 습득하는 한편 문법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실제 한국어 문법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능력을 함양한다.
  • 한국문화교육론(Studies on Theories of Korean Culture Teaching)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의 일반적인 특징을 학습하는 한편 이를 실제 교육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을 습득함으로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능력을 함양한다.
  • 한국어교육실습(Teaching Practice of Korean Language)
    이론적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교육 실습을 수행한다.
  • 한국어교재론(Studies on Theories of Korean Textbook)
    시중에 출간되어있는 한국어 학습 관련 교재나 보조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재와 보조자료의 개선점, 효과적인 교수 방안 등을 모색한다.
  • 한국어문법론(Studies on Theories of Korean Grammar)
    한국어 문법의 체계에 대해서 살펴보고, 영역별로 세부 지식을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른 언어와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탐구한다.